본문 바로가기

Safety.Study/안전관리론

안전관리론-Chapter01[안전보건관리 개요]-03

728x90
반응형

5. 재해발생의 메커니즘(Mechanism)

  (1) 하인리히(Heinrich)의 사고연쇄성 이론[도미노(Domino) 현상]

  1. 1단계 :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2. 2단계 : 개인적 결함
  3. 3단계 :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물리적, 기계적 위험)
  4. 4단계 : 사고
  5. 5단계 : 재해

  (2) 버드(Bird)의 최신사고 연쇄성 이론

  1. 1단계 : 통제의 부족 - 관리(경영)
  2. 2단계 : 기본원인 - 기원(원인론)
  3. 3단계 : 직접원인 - 징후
  4. 4단계 : 사고 - 접촉
  5. 5단계 : 상해 - 손해 - 손실

※전문적관리의 4가지 기능

  • 계획(Planning) → 조직(Organizing) → 지도(Leading) → 제어(Controlling)

  (3) 아담스(Adams)의 연쇄이론

  1. 관리구조의 결함 : 목적(목적, 수행표준, 사정, 측정), 조직(명령체제, 관리의 범위, 권한과 임무의 위임, 스탭), 운영(설계, 설비, 조달, 계획, 절차, 환경 등)
  2. 작전적(전략적) 에러 : 관리자나 감독자에 의해서 만들어진 에러
    - 관리자의 행동 : 정책, 목표, 권위, 결과에 대한 책임, 책무, 주위의 넓이, 권한위임 등과 같은 영역에서 의사결정이 잘못 행해지던가 행해지지 않음
    - 감독자의 행동 : 행위, 책임, 권위, 규칙, 지도, 주도성(솔선수범), 의욕, 업무(운영) 등과 같은 영역에서의 관리상의 잘못 또는 생략이 행해짐
  3. 전술적 에러 :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4. 사고 : 사고의 발생, 무상해 사고, 물적 손실사고
  5. 상해 또는 손해 : 대인, 대물
반응형

 

※ 형평성이론

개인은 자신의 노력과 결과로 얻어지는 보상과의 관계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자신이 느끼는 공정성에 따라 행동동기가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

  • 투입 : 시간, 노력, 기술, 교육 정도, 비용
  • 산출 : 급료, 지위인정, 칭찬, 좋은 배치, 보람 등
  • 결과 :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이 다른 종업원들과 일치할 때 공정성이 있다고 믿음. 이 경우 작업동기가 가장 좋아짐
더보기

개인은 자신의 노력과 결과에 대한 보상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공정하다고 인식한다면, 그들은 더 높은 수준의 동기를 가지고 일을 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그들이 자신의 보상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불공정하다고 인식한다면, 그들은 더 낮은 수준의 동기를 가지고 일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은 조직 내에서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조직 내에서 보상이나 승진 기회에 대한 공정한 분배를 유지하면, 개인들은 높은 수준의 동기와 열의를 가지고 일을 하게 된다. 반면, 불공정한 보상이나 승진 기회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 개인들은 낮은 수준의 동기와 열의를 가지고 일을 하게 되고, 이는 조직의 생산성과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조직은 보상과 승진 기회를 공정하게 분배하고, 개인들이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는 조직 내부의 안전문화를 구축하고, 개인들이 일을 하는 환경에서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728x90

 

 

  (4) 자베타키스(Zabetakis)의 연쇄이론

  1. 사고의 근본원인 : 인간정책과 결정,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2. 사고의 간접원인 : 불안전 행동 및 불안전 상태
  3. 물질 에너지의 기준이탈 : 사고의 직접원인(에너지 및 위험한 물질의 예기치 않은 방출)
  4. 사고 : 신체의 상해, 재산피해
  5. 구호 : 응급조치, 수리, 대체(바꿔치기), 조사, 위험성분석, 안전지식
더보기

사고는 물질 에너지의 기준 이탈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예기치 않게 물질이나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학 물질이 유출되거나, 기계가 고장 나서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직접적 원인은 물론, 사고의 간접적 원인도 중요하다. 이는 불안전한 행동이나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전 규정을 따르지 않거나, 안전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등의 불안전한 행동이나, 작업자의 지나친 피로나 스트레스 등 불안전한 상태가 간접적으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베타키스 이론은 사고의 근본적 원인도 강조한다. 이는 인간 정책과 결정,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조직의 안전 정책이나 문화, 인적자원 관리 등의 인간 정책과 결정, 작업자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 기술적 능력 등의 개인적 요인, 작업장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조건 등의 환경적 요인을 의미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