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fety.Study/안전관리론

안전관리론-Chapter01[안전보건관리 개요]-01

728x90
반응형

1. 안전관리 및 안전의 정의

 

(1) 안전관리의 정의

 

재해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존하기 위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안전관리란 조직이나 시설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는 인적, 물리적, 환경적 위험을 포함하며,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관리는 조직이나 시설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사고 예방 및 대응, 위험 평가 및 관리, 안전 정책과 절차 개발, 교육 및 훈련 등을 포함한다.

안전관리는 모든 조직과 시설에 필요한 것이며, 인적 손실, 물적 손실 및 폐기물 처리 등 비용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된다.

 

반응형

(2) 안전의 정의

 

하인리히(H. W. Heinrich)의 안전론 : 안전은 사고예방(Accident Prevention)이며 사고예방은 물리적 환경과 인간 및 기계의 관계를 통제하는 과학인 동시에 기술이다.

이론의 핵심은 사고와 상해를 예방하고, 위험요인을 관리하여 안전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분야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물리적 환경과 인간 및 기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위험을 예측하며 예방적 대응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안전 분야에서의 기술 발전과 과학적 연구가 안전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이다.

버크호프(H. O. Berckhofs)의 안전론 : 사고의 시간성 및 에너지의 사고 관련성을 규명한다.

(3) 안전제일의 유래

 

U. S. Steel Co. 의 게리 (E. H. Gary) 사장이 회사의 경영방침을 "안전 제1", "품질 제2", "생산 제3"으로 정하고 회사를 경영한 결과 산업재해가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품질과 생산성도 더욱 향상 되었다.

2. 안전사고와 재해

 

(1) 용어의 정의

 

안전사고 : 고의성이 없는 어떤 불안전한 행동이나 조건이 선행되어 발생하는 사고이다.

재해(Loss, Calamity) : 안전사고의 결과로 일어난 인명피해 및 재산의 손실이다.

무재해 사고(Near Accident, 아차사고) : 인명이나 물적 등 일체의 피해가 없는 사고이다.

(2) 산업재해(Industrial Losses)

 

일반적 정의 : 동제를 벗어난 에너지(Energy)의 광란으로 인하여 입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현상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정의 :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이다.

(3) 중대재해(시행규칙)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화학적 위험 및 물리적 위험

 

728x90

 

(1) 화학적 위험

물질(기체, 액체, 고체)에 의한 위험으로 화재 및 폭발, 공업중독 및 유해물질에 의한 직업병, 대기오염 등

 

「화학적 위험(Chemical Hazard)은 화학물질로 인해 인체나 환경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위험은 화학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에 의해 발생하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화학적 위험은 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1. 폭발적 위험: 화학물질이 불안정하여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입니다.

 

2. 인체에 유해한 위험: 화학물질이 인체에 노출될 경우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입니다.

 

3. 환경 오염 위험: 화학물질이 환경에 노출될 경우 생태계 및 생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입니다.

 

4. 화재 위험: 화학물질이 불에 노출될 경우 불을 일으키거나 불을 퍼뜨릴 수 있는 위험입니다.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그 농도, 노출 시간, 노출 경로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안전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물리적 위험

 

광선(자외선, 적외선), 방사선, 고온 및 저온, 고기압 및 저기압, 소음, 진동 등에 의한 위험

 

「물리적 위험(Physical Hazard)은 물리적인 성질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위험은 화학적 위험과 달리 화학물질과는 관련이 없으며, 대부분은 물리적인 현상에 기인합니다.

 

물리적 위험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열 위험: 높은 온도나 저온 상태에서 인체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위험입니다. 예를 들어, 열화상, 동상 등이 있습니다.

 

2. 방사선 위험: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위험입니다. 예를 들어, 방사선질환, 방사선화상 등이 있습니다.

 

3. 충격 위험: 물체나 기계 등으로 인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입니다. 예를 들어, 낙하, 충돌 등이 있습니다.

 

4. 소음 위험: 고음량의 소음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위험입니다. 예를 들어, 청력 손상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물리적 위험은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안전장비의 착용, 위험물질의 안전한 보관, 물리적 보호장치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