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fety.Study

안전관리론-Chapter07[산업안전심리]-01

728x90
반응형

산업심리학

1) 산업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의 방법과 식견을 가지고 인간의 산업에 있어서의 행동을 연구하는 실천과학이며 응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선발과 배치, 생산능률의 성과 중대, 인간의 복지증진 등이 주요 영역이다.

 

2)산업심리학과 직접 관련이 있는 학문

▲ 인사관리학, 인간공학, 사회심리학, 응용심리학

심리학, 안전관리학, 노동과학, 행동과학, 신뢰성공학

 

3) 호손(Hawthorne) 실험

▲ 실험 연구자 : 메이요(Mayo)와 레슬리스버거(Roethlisberger)

실험 결론 : 작업자의 작업능률(생산성 향상)은 물리적인 작업조건보다는 인간관계의 요인에 의해서 좌우된다.


인간관계의 메커니즘 및 관리방식

1) 인간관계의 메커니즘(Mechanism)

동일화(Identification) : 다른 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투입시키거나,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하는 것

투사(投射, Projection) : 자기 속의 억압된 것을 다른 사람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투사(또는 투출)라고 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 갖가지 행동 양식이나 기호를 매개로 하여 어떤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는 과정

모방(Imitation) : 남의 행동이나 판단을 표본으로 하여 그것과 같거나 또는 그것에 가까운 행동 또는 판단을 취하려는 것

암시(Suggestion) :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판단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논리적, 사실적 근거 없이 받아들이는 것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

 

2) 인간관계 관리 방식

전제적(專制的) 방식 : 권력이나 폭력에 의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

온정적 방식 : 은혜를 사용하는 가족주의적 사고방식

과학적 사고방식 :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능률의 논리를 경영관리의 방법으로 체계화한 관리 방식(Taylor. F. W)

 


반응형

집단관리

1) 집단의 기능과 집단목표

집단의 기능 : 응집력, 행동의 규범, 집단목표

집단목표를 수용하기 위한 결정요소 : 목표의 명확성, 참여성, 응집성, 성취에 대한 욕구충족도

 

※ 파슨즈(Parsons)의 집단의 기능

 - 적응기능, 목표달성 기능, 통합기능, 내면화

 

2) 집단의 효과

동조효과(응집력)

시너지(Synergy) 효과(System + Energy : + a상승 효과)

견물(見物) 효과(자랑스럽게 생각)

 

※ 집단 간의 갈등요인

 - 제한된 자원, 집단 간의 목표차이, 동일사안을 바라보는 집단 간의 인식차이

 

3) 카운슬링(Counseling)

개인적인 카운슬링 방법 : 직접충고(안전수칙 불이행 시 적합), 설득적 방법, 설명적 방법 

카운슬링의 순서 : 장면 구성 → 내담자 대화 → 의견 재분석 → 감정표출 → 감정의 명확화

카운슬링의 효과 :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 안전 태도 형성, 동기 부여


직장에서의 적응과 부적응

1) 적응과 역할(Super의 역할이론)

역할연기(Role Playing) : 자아탐색(Self-exploration)인 동시에 자아실현(Selfrealization)의 수단이다.

역할기대(Role Expectation) : 자기의 역할을 기대하고 감수하는 사람은 그 직업에 충실한 것이다.

역할조성(Role Shaping) : 개인에게 여러 개의 역할기대가 있을 경우 그중의 어떤 역할기대는 불응, 거부하는 수도 있으며, 혹은 다른 역할을 해내기 위해 다른 일을 구할 때도 있다.

역할갈등(Role Conflict) : 작업 중에는 상반된 역할이 기대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갈등이 생기게 된다.

 


728x90

2) 부적응의 유형(인격 이상자의 유형)

망상 인격(편집성 인격) : 자기주장이 강하고 빈약한 대인관계를 가지고 있는 성격의 소유자(냉혹성, 과민성, 완고, 질투, 시기심이 강함)

순환 인격 : 외적자극과는 관계없이 울적 상태(우울한 시기)에서 조적상태(명랑한 시기)로 상단한 장기간에 걸쳐 기분이 변동하는 특징을 나타냄

폭발 인격 : 극단적으로 수줍어하고, 말이 없고, 자폐적이고, 사교를 싫어하고, 친밀한 인간관계를 피하려고 하는 특징을 나타냄

강박 인격 : 엄격하고 지나치게 양심적이고 우유부단, 욕망을 제지하고 기준에 적합하도록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특징을 나타냄(완전주의 지향)

반사회적 인격 : 정서 불안정, 윤리 도덕성의 규범 결여, 무감각, 쾌락주의, 자기애적임

부적합 인격 : 정상적인 정신적 · 신체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일상생활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함

무력 인격 : 활력이 결여되고, 감정이 둔하고, 만성적 비관론자임

소극적 공격적 인격 : 적의(敵意)를 처리하는데 온갖 음흉한 방법으로 교묘히 활용함

 

※ 사고를 많이 일으키는 성격

  • 허영적
  • 쾌락주의적
  • 도덕적 결벽성 결여
  • 소심한 성격

모랄 서베이(Morale Survey, 사기조사)

1) 모랄 서베이

▲ 종업원의 근로 의욕 · 태도 등에 대한 측정을 하는 것으로 사기조사(士氣調査) 또는 태도조사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사기조사의 방법은 주로 질문지나 면접에 의한 태도(또는 의견)조사가 중심을 이룬다.

 

2) 모랄 서베이의 주요방법

통계에 의한 방법 : 사고 상해율, 생산고, 결근, 지각, 조퇴, 이직 등을 분석하여 파악하는 방법

사례연구법 : 경영 관리상의 여러 가지 제도에 나타나는 사례에 대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로서 현상을 파악하는 방법 

관찰법 : 종업원의 근무 실태를 계속 관찰함으로서 문제점을 찾아내는 방법

실험연구법 : 실험그룹(Test group)과 통제그룹(Control Group)으로 나누고 정황, 자극을 주어 태도 변화 여부를 조사하는 방법

  태도조사법(의견조사) : 질문지법, 면접법, 집단토의법, 투사법(Projective Technique) 등에 의해 의견을 조사하는 방법

 


리더십(Leadership)

1) 리더십의 유형

선출방식에 따른 리더십의 분류

  - 헤드십(Headship) : 집단 구성원이 아닌 외부에 의해 선출(임명)된 지도자로 명목상의 리더십

  - 리더십(Leadership) : 집단 구성원에 의해 내부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로 사실상의 리더십

업무추진 방법에 의한 리더십의 분류

  - 권위형 : 지도자가 집단의 모든 권한 행사를 단독적으로 처리 

  - 민주형 : 집단의 토론, 회의 등에 의해 정책을 결정

  - 자유방임형 : 집단에 대하여 전혀 리더십을 발휘하지 않고 명목상의 리더 자리만을 지키는 유형으로 지도자가 집단 구성원에게 완전히 자유를 주는 경우

블레이크 & 머튼의 관리그리드 모형

  - 관리그리드 모형은 블레이크와 머튼에 으해 리더십의 유형을 분류하는 개념적 틀로 개발되었는데 생산에 대한 관심과 인간에 대한 관심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있다.

  - 생산에 대한 관심 : 어떻게 하면 부하로 하여금 많은 일을 수행하게 해서 높은 성과를 가져오게 할 것인가?

  - 인간에 대한 관심 : 어떻게 하면 부하들이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 주면서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가?

 

2) 리더십의 권한

조직이 지도자에게 부여한 권한

  - 보상적 권한 : 지도자가 부하들에게 보상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부하직원들을 통제할 수 있으며 부하들의 행동에 대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권한

  - 강압적 권한 : 부하직원들을 처벌할 수 있는 권한

  - 합법적 권한 : 조직의 규정에 의해 지도자의 권한이 공식화된 것

 

지도자 자신이 자신에게 부여한 권한 : 부하직원들이 지도자의 성격이나 능력을 인정하고 지도자를 존경하며 자진해서 따르는 것

  - 전문성의 권한 : 지도자가 목표수행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업무수행을 하므로 부하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지도자를 따름

  - 위임된 권한 : 집단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부하 직원들이 지도자가 정한 목표를 자진해서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여 지도자와 함께 일하는 것

 

3) 리더십 이론

리더-부하 교환이론

  - 리더와 부하가 서로 영향을 준다는 리더십 이론

  - 부하들의 능력 및 기술, 리더가 부하들을 신뢰하는 정도 등에 따라 리더가 부하들을 서로 다르게 대우한다고 가정

 

허쉬와 브랜차드(Hersey & 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 : 리더의 행동과 관련하여 과업지향적인 행동과 관계지향적인 행동이라는 두 차원을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한 4분면으로 분류한 후 여기에 상황적 요인으로서 구성원의 성숙도를 추가시킴으로써 리더십에 관한 3차원 모형을 제시

  - 지시적 리더 : 부하에게 기준을 제시해 주고 가까이서 지도하며 일방적인 의사소통과 리더중심의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 과업수준은 높게 관계성 수준은 낮게 요구되는 경우

  - 설득적 리더 : 결정사항을 부하에게 설명하고 부하가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 쌍방적 의사소통과 집단적 의사결정을 지향하는 유형, 과업수준과 관계성 수준이 모두 높게 요구되는 경우

  - 참여적 리더 : 아이디어를 부하와 함께 공유하고 의사결정과정을 촉진하며 부하들과의 인간관계를 중시하며 부하들을 의사결정에 많이 참여하게 하는 유형, 과업수준은 낮게 과계성 수준은 높게 요구되는 경우

  - 위임적 리더 : 의사결정과 과업수행에 대한 책임을 부하에게 위임하여 부하들이 스스로 자율적 행동과 자기통제하에 과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유형, 과업수준과 관계성 수준이 모두 낮게 요구되는 경우

 

리더십 경로 - 목표 이론(Path-Goal Theory)

  - Robert House 교수(1971)에 의해 주창된 이론으로 리더의 역할을 추종자들이 개인이나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정의

  - "리더의 스타일 분류 + 조직 구성원의 특성에 따른 상황 요소 + 환경적 상황 요소"를 함께 고려해서 어떤 경우에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올라가고 성과가 늘어나는지 밝히려는 시도

 

※ 리더십의 특성 및 특징

  • 리더십의 특성 : 기술적 숙련, 대인적 숙련, 혁신적 숙련, 표현능력
  • 권력형 리더의 특징 : 일 중심형으로 업적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인간관계에 무관심
  • 리더십의 결정요소 : 조직의 성격, 집단성원의 인적사항, 기술의 발달, 환경의 상태

 

728x90
반응형

'Safety.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관리론-Chapter07[산업안전심리]-02  (0) 2023.06.22